최근에 이수관 목사님께서 쓰신 칼럼 중 “목장 나눔의 시간에 대한 A-Z”라는 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발췌해 보았습니다. <가정교회의 꽃은 뭐니뭐니 해도 나눔의 시간입니다. 나눔은 기본적으로 내 삶 가운데 감사한 것을 나누는 것입니다. 시시콜콜한 것들을 감사하다 보면 감사가 습관이 되어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하고, 하나님에 대한 감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. 그런데 감사한 것을 나누라는 것은 기분 좋은 얘기, 일이 잘 된 얘기만 하라는 의미는 아닙니다. 힘들었던 얘기, 어려운 얘기도 얼마든지 할 수 있지만 그래도 끝은 긍정적으로 맺으라는 의미입니다. 그래서 목장 식구들의 위로와 기도를 통해서 목장에서 소망을 가지고 돌아가게 하려는 의도입니다. 따라서 목장에서는 모든 얘기들이 다 나오되 특별히 부끄러운 이야기, 힘든 이야기들이 나와야 합니다. 거기서부터 우리의 삶에 치유가 시작되기 때문입니다. 제가 목자를 할 때도 보면 과감한 나눔을 하는 사람일수록 변화는 빨랐고, 반면 자신을 드러낼 줄 모르는 사람이 변화 역시 느리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. 왜냐하면 그런 진솔한 나눔이 될 때 나를 포장하고 살던 위선과 허세도 무너지기 시작하고, 우리의 폐쇄성이 사라지면서 소통이 시작되고,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고, 특별히 내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생기기 때문입니다. 당연히 이런 속 깊은 얘기가 나올 수 있으려면 이곳이 비밀이 보장되는 안전한 공간이라는 확신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.
기존 교회를 가정교회로 전환하고 나면 처음에는 나눔이 재미가 있지만 얼마 지나고 나면 더이상 할 얘기가 없다는 불평들이 나올 수 있습니다. 그것은 아직도 그들이 충분히 속을 드러내지 않고 여전히 가리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, 또 하나는 오래 교회생활을 하면서 삶이 안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.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역시 VIP입니다. 세상 가운데 살다가 문제를 가지고 들어오는 VIP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고, 긴급한 기도제목이 많습니다. 따라서 목장에 VIP가 들어오면서 나눔은 다시 활기를 띄기 시작합니다. 목장의 모든 질문의 해답은 VIP에게 있다고 봐도 됩니다. 목장에 VIP가 없이 모두가 오래 된 목장 식구들일 경우는 나눔이 진부해 질 수가 있는데 그럴 때는 자주는 아니더라도 영적인 면을 돌아보고 나눌 수 있도록 목자가 나눔의 제목을 만들어 주는 것도 필요합니다.> 여기서 제가 첨언하고 싶은 것은, 휴스턴교회는 지난 주 설교를 가지고 나누는 시간이 없기 때문에, 이런 경우 목자가 가끔씩이라도 영적인 나눔을 위한 제목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이수관 목사님은 말씀하시는데, 저희 교회는 목장모임지 하단에 있는 나눔 질문을 잘 활용하시면 그런 취약점도 잘 보강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. -손목사-